PBS 리모트로도 잘 붙는군요.
사무실에 PVE하나, PBS 한대 (지금기준 골동품 수준인 N54L 에 8TB 하드 하나 올렸습니다.) 돌리고,
집에도 이번에 새로 구입한 n100에 PVE 하나 돌리고 있습니다.
데이터가 중요하다기 보다는 이것저것 주무르다 망가뜨릴때를 대비해서 집 proxmox 도 중간중간 백업을 해두고
싶은데 이것때문에 PBS한대를 더 만들기도 그렇고 해서... 혹시 원격 PBS를 집 PVE의 백업용으로 붙는지 해보았더니
금방 붙네요.
사무실 공유기에서 8007 포트를 PBS로 포워드해주고. 집 PVE 데이터 센터에서 원격 PBS를 스토리지 추가만 해주면 됩니다.
서버 주소만 원격지 공인 IP 주소 넣어주기만 하면 되고요...
그다음엔 로컬 PBS인것처럼 그냥 올리면 되는데...
이게 무조건 백업 세트를 VM id 로만 구분하는것 같네요.
그러니까 집의 100번과 사무실의 100번이 몽땅 같은 백업세트로 백업이 되어버린다는...
이게 서로 다른 머신에 증분백업까지 해버리는지는 확인 못했구요...
지금 별거 없기 때문에 집의 VM id를 200번 시작으로 바꾸면 좋을 것 같은데
이 바꾸는 것이 만만치 않네요... 인터넷 검색해보면 클론을 하던가, 백업한다음에 다른 id 로 복원하라고
안내되어있습니다.
혹시 저같이 사용하시려면 두번째 세번째 Proxmox의 VM id는 200, 300 이렇게 시작하시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100대로 모자라면 1000번, 2000번 이렇게 시작하는 것으로 .. ㅎㅎ
위의 문제는 PBS 쪽에서 DataStore를 새로 생성한다음에 이것을 사용하면 되네요.
쓸수록 Proxmox 사용자에게 PBS는 꼭 필요한 도구라 생각됩니다.
쭉 보면 PBS사용하시는분 많지 않으신 듯 한데.. Proxmox 운용하신다면 강추 드립니다.
N54L (심지어 메모리도 4G) 같은 구닥다리 피시에도 잘 올라갑니다.

저같은경우 tailscale을 사용해서 원격으로 붙여보려고 합니다 ㅎ


백업 PBS가 있는쪽에 라우팅 노드를 놓으시거나 PBS에 tailscale만 설치하면 끝입니다 ㅎ

PBS 연결자체가 비록 포트를 열더라도 FingerPrint 등 접속 자체가 어렵고.. 공유기에서 Source IP 만 지정해두면
보안상의 문제가 생길것 같지는 않고... 그러네요..
공부를 좀 더 해보겠습니다. 다만 "라우팅 노드를 놓는다" 가 어떻게 하는건지 힌트 부탁드립니다. ㅎㅎ
cmt al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