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nextcloud 질문드립니다.
우분투 22.04에 도커로 nextcloud 를 설치하였습니다.
우분투는 ssd 256 에 설치되어 있으며 1T 두개를 raid0로 묶어서 마운트하였습니다.
도커로 nextcloud 설치 후 클라우드 용량을 확인하니 256 으로 나오더군요.
그래서 마운트한 raid0 디스크를 연결하고 싶은데 안되네요. ㅠ
외부장치로 smb 연결은 방법은 찾겠는데 로컬에 바로 마운트된 드라이브를 도커 nextcloud 에 연결할 방법이 도무지 없더라구요.
혹시나 이렇게 사용하시는 분이나 방법을 아시분 도움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너굴맨봇 2023.09.18. 11:34
안녕하세요,
CHE3님.😊

좋은답변을 받기위해서는 좋은 질문이 필요합니다.
유의할점⚠️
- 예의를 지켜주세요. 답변자는 답변을 할 의무는 없습니다.
- 질문에 대한 대부분의 답은 검색으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답변자가 답변을 하면서 대개 많은 경우는 다시 질문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질문의 대한 정보가 부족합니다. ~일 경우 결과물이 어떻게 됩니까? 등등)
질문방법🙏
자신의 상황을 최대한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상황이 정확하고 많을 수록 답변의 정확도가 올라갑니다.
ex) 헤놀로지라면 어떠한 로더의 이미지를 사용했는지.(arpl-i18n, mshell), 어떤 버전을 사용했는지 문제가있다면 어떠한것인지 스크린샷을 동반하고 에러의 경우 에러로그를 출력해서 주시면 좋습니다.
*가능하면 최신버전 OS/SW를 이용해주세요
답변에대한 피드백을 주세요.
정보가 질문에 모두 담겨있지않다면 대부분의 답변이 다른정보를 요구합니다.
이러한 답변에 대해 명확한 피드백을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2등
똥쓰똥쓰 2023.09.18. 11:59
1. 설정된 /data 위치로 연결할 내부 위치를 먼저 볼륨으로 바인딩 시켜야 합니다.
포테이너를 이용해 볼륨매핑을 하시면 됩니다.
2. 그런 후 마운드 되는 로컬대렉토리는 777권한을 줘야 인식 됩니다. (chmod 777 -R /volume1/xxxx)
3. nextcloud에서의 마운트는 "External storage support" 앱을통해 붙이시면 됩니다.
4. 마운트 후 최초 파일을 인식하느라 시스템이 아주 느려집니다. occ files:scan --all 를 통해 스캔을 한번해주시면 됩니다.
포테이너를 이용해 볼륨매핑을 하시면 됩니다.
2. 그런 후 마운드 되는 로컬대렉토리는 777권한을 줘야 인식 됩니다. (chmod 777 -R /volume1/xxxx)
3. nextcloud에서의 마운트는 "External storage support" 앱을통해 붙이시면 됩니다.
4. 마운트 후 최초 파일을 인식하느라 시스템이 아주 느려집니다. occ files:scan --all 를 통해 스캔을 한번해주시면 됩니다.
똥쓰똥쓰
댓글 감사드립니다.
제가 생초보라 일단 포테이너 볼륨매핑부터 공부해야겠네요. ㅠㅠ
근데 일단 제 우분투에는 occ 명령이 없다고 나오네요. ㅠ
똥쓰똥쓰 2023.09.18. 13:21
CHE3
occ는 도커콘솔에서 해야 합니다.... docker exec -it 컨테이너명 /bin/bash
그냥 ssh에서는 안됩니다....
그냥 ssh에서는 안됩니다....
똥쓰똥쓰
앗. 네 감사합니다. 시도해보겠습니다.
3등
DarkAcid 2023.09.18. 12:01
저도 진짜 고생해서 완성했습니다. 문제는 공식 이미지와 linuxserver있는데 두개의 마운팅 포인트가 많이 틀립니다! 어떤 이미지 쓰고 계신가요?
DarkAcid
https://svrforum.com/svr/865125
처음에 위에 글 참고로 설치했다가 너무 무겁고 잘 안되서
https://svrforum.com/svr/732165
현재는 위에 글로 설치되어있는 상태입니다.
감사드려요.
처음에 위에 글 참고로 설치했다가 너무 무겁고 잘 안되서
https://svrforum.com/svr/732165
현재는 위에 글로 설치되어있는 상태입니다.
감사드려요.
게르노 2023.09.18. 12:53
저는 linuxserver/nextcloud 이미지를 사용해서 다를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의 /external (기존에 없는 경로를 사용하셔야 합니다.)과 마운트하고자 하는 레이드로 묶은 파일 시스템의 절대경로를 매핑해주시면 됩니다.
그 후 nextcloud 외부저장소 설정에서 외부저장소 이름을 /로 하시고 로컬, /external 하시면 레이드로 묶은 파일 시스템을 기본 디렉토리로 nextcloud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 혼자 사용하신다면 이렇게 하면 되는데 여러명이 레이드로 묶은 하드를 각각 사용해야 한다면 조금 달라집니다.
컨테이너의 /external (기존에 없는 경로를 사용하셔야 합니다.)과 마운트하고자 하는 레이드로 묶은 파일 시스템의 절대경로를 매핑해주시면 됩니다.
그 후 nextcloud 외부저장소 설정에서 외부저장소 이름을 /로 하시고 로컬, /external 하시면 레이드로 묶은 파일 시스템을 기본 디렉토리로 nextcloud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 혼자 사용하신다면 이렇게 하면 되는데 여러명이 레이드로 묶은 하드를 각각 사용해야 한다면 조금 달라집니다.
게르노
답변 감사드립니다.
한번 시도해보겠습니다.
만약에 4~5명에게 계정을 파주고 그들도 사용하게 하려면 설정이 달라지는가요?
한번 시도해보겠습니다.
만약에 4~5명에게 계정을 파주고 그들도 사용하게 하려면 설정이 달라지는가요?
게르노
와. 게르노님 방법대로 하니 보이네요. 감사합니다.
그런데 /로 하니 저의 우분투 root폴더 전체가 보이네요.
그래서 하드가 마운트된 폴더 /mnt/raid0 로 연결을 시도하시 안되는구요.
좀 더 공부를.....ㅎ
그런데 /로 하니 저의 우분투 root폴더 전체가 보이네요.
그래서 하드가 마운트된 폴더 /mnt/raid0 로 연결을 시도하시 안되는구요.
좀 더 공부를.....ㅎ
게르노 2023.09.18. 13:36
CHE3
게르노 2023.09.18. 13:40
CHE3
폴더 이름을 /로 설정하셔야 합니다.
Portainer에서 /mnt/raid0과 nextcloud 컨테이너의 /external을 매핑해주시면 될겁니다.
동일한 저장장치에 계정 별 디렉토리를 할당하고 싶으시다면 조금 달라집니다.
아래 문서를 참조해보세요
https://docs.nextcloud.com/server/latest/admin_manual/configuration_files/external_storage_configuration_gui.html#usage-of-variables-for-mount-paths
Portainer에서 /mnt/raid0과 nextcloud 컨테이너의 /external을 매핑해주시면 될겁니다.
동일한 저장장치에 계정 별 디렉토리를 할당하고 싶으시다면 조금 달라집니다.
아래 문서를 참조해보세요
https://docs.nextcloud.com/server/latest/admin_manual/configuration_files/external_storage_configuration_gui.html#usage-of-variables-for-mount-paths
게르노
너무 감사드립니다.
이미지, 컨테이너 몽땅 제거 후 천천히 재설치하면서 공부합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이미지, 컨테이너 몽땅 제거 후 천천히 재설치하면서 공부합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게르노
감사합니다. 해결했습니다.!!!
cmt al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