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해결] 집 인터넷 구축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현재 저희 집의 인터넷 구조가 위와 같습니다.
원래 이랬던건 아닙니다.
원래는 공유기가 아이피타임 공유기 밖에 없었고 이게 가장 최상단에 있는 형태였습니다만...
오랜만에 집에 들어와보니 인터넷 기사님이 새로운 장비를 추가하시면서 집 인터넷 배선함을 다 바꿔놓으셨더라구요
이 일로 전에는 없던 기가허브와 유플러스 공유기가 추가되었습니다.
서버는 원래 최상단에 있는 아이피타임 공유기에 연결돼있었는데,
인터넷 구조가 변경되며 기가허브 아래에 아이피타임 공유기 아래에 서버가 위치하게 되면서
사설네트워크에 2중으로 물려있어서 그런지 외부에서와 내부(도메인 사용)에서 접속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스위치 허브를 구매하여 기가허브 바로 아래에 오도록 하였습니다.
이렇게 하니 외부(데이터 사용)에서와 유플러스 공유기에서는 접속이 잘 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아이피타임 와이파이를 잡은 상태에서는 연결이 안되네요. SMB도 접속이 안됩니다.
그러면 아이피타임 공유기를 브릿지 모드로 바꿔버리던가, 예전처럼 아이피타임 공유기를 최상단에 둬야할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1. 아이피타임 공유기를 브릿지 모드로 바꾸기
유플러스 공유기가 브릿지 모드로 돼있는 것을 보고 아이피타임 공유기도 브릿지 모드로 바꿔보려 했지만 잘 안됩니다. 유플러스 공유기는 호환되는 기가허브가 상단에 있어서 브릿지 모드로 작동하는 것 같은데 아이피타임도 설정을 바꿔서 브릿지모드로 쓸 수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2. 아이피타임 공유기를 최상단에 두기
기가허브를 빼버리고 아이피타임 공유기를 최상단에 두면 될 것 같은데 이렇게 하면 아이피타임 공유기 아래에 위치하게 될 유플러스 기가공유기는 브릿지 모드로 못쓰게 되려나요?
3. 현 구조에서 아이피타임에서 서버에 접속 가능하게 하기
가능하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nextcloud 업데이트 이후 접속이 랜덤하게 엄청 느려졌는데 처음엔 네트워크 문제인 줄 알았으나... 다른 컨테이너 서비스들은 원활한 것으로 봐서 nextcloud 문제인걸로 ㅜㅜ
-----------------------------------------------------------------
iptime을 허브모드로 변경해서 iptime에 연결했을 때도
유플러스 기가게이트웨이에서 사설ip가 할당되게끔 했습니다.
그런데 iptime에 연결했을 때 홈서버 SMB나 사설ip를 통한 접속은 되지만
도메인을 통한 홈서버 접속이 안됩니다.

잘은 모르겠지만 저희 집이였으면.. 일단 공유기는 끼고 갈꺼 같아요.. iptv가 말썽이 많아서..
통신사 모뎀을 브릿지로 1번포트 iptime 4번포트 iptv
iptime 리셋이나 해도 티비영향도 안받구요..
iptime이 다시 메인이되는거니.. 스위치그대로 쏴주시고.. 침실은 ap?모드로 해야하지 않을까싶네요..
저도 초보지만 저희집 상황이랑 거의 비슷해서..
저는 sk인데 통신사 공유기살려서 iptv빼고 ip 2개 할당받아 두개공유기 환경입니다..추가 kt따로 쓰구요..

PC도 스위치 허브에 바로 연결하시고(안하셔도됨)
IPTime 공유기를 ap모드로 사용하시면 될듯합니다.
지금 어찌저찌 해서 iptime 허브모드로 바꿨습니다!
그런데 SMB도 되고 분명 사설ip도 게이트웨이의 것을 받아오는데 iptime에 연결했을 때 도메인을 통한 홈서버 접속이 안되네요 ㅠㅠ


덕분에 루프백에 관해서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근데 lg 가 80이나 443 포트 열려있나요?
리버스프록시에 대해선 말씀드린 적이 없는데요...제 서버 환경은 제 블로그 내용 참고 부탁드려요. NAS가 서버 위치인데, 지금은 proxmox 로 동일하게 구성해서 사용중입니다.
https://zepinos.tistory.com/92
그리고 엘지를 가정용으론 안써봐서 그런데, 최상단 엘지 기가허브라는게...공유기(라우터)인가요? 저는 최상단에 NAT 로 분배하는게 없는걸 기준으로 말씀드리고 있었어요.
80 443포트 접속은 딱히 문제된 적 없습니다
포트 안막혀있다니...좋네요.
검색해보니...아래 링크 같은 제품인가요? 서버에 공인IP 받아왔다면 공유기(라우터)가 아니라 모뎀+스위치허브 기기인 것 같고...서버에 공유기에서 나온 선 하나 추가로 연결하면 내외부 가릴 것 없이 잘 될 것 같은데요. 저는 유선으로 선을 모두 연결했지만, 어떤 곳에서는 USB 무선랜 제품 구입해서 무선으로 공유기와 연결해서 구축한 적도 있습니다.
저도 유플쓰는데 받은 공유기 때고 IPTime 공유기 쓰거든요.
IPTime 최상단에 두고 쓰면 다 해결될거 같아서요.
그렇게 하려면 인터넷 배전함을 건드려야 하는데 저희 인터넷 배전함은 뚜껑에 구조도(침실1 침실2가 어딘지 나와있는 구조도)도 없고 스위치 허브 넣으려면 안에 멀티탭도 넣어야해서 일단은 최대한 피하려고 합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4370783834.html
저번에 한번 집 정리를 하면서 구매를 해서 전원을 렌선으로 연결해서 사용을 하고 있네요.
다만 한곳은 100메가만 나가는 구조가 되지만 와이파이만 사용하는곳이라서 별 문제가 없다고 판단.
나머지는 다 기가가 나가게 될 수 있는 구조로 변경을 하였네요.
지금 문제가 어디가 연결 되고 안되는지 알수없는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을 하는데
이게 입맛에 맞게 구성을 할려면 다 디집어 놓지 않는 이상은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집에도 SK 에서 주는 공유기 역시 그냥 박스에 고이 모셔서 창고에 집어넣어두고 있습니다 ㅎㅎㅎ.
다 설정 가능한 iptime 으로 통일하고 sk 모뎀 겸 공유기 역시 브릿지로 그냥 iptime에서 관리하도록
구성을 해 놓은 상태죠..
반년넘게 고민하면서 결론 내린거라서 ㅎㅎㅎ. 한번 완전히 정리해본다는 생각을 가져볼만한 구성인듯 합니다.
일단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iptime 의 DDNS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망에서 DDNS 도메인 접속시 서버로 패스쓰루
iptime 의 DDNS 기능을 정상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선 한가지 선결조건이 있습니다. 바로 ddns 를 설정한 iptime 기기가 공인ip 를 받아와야 된다는거죠.
현 상황에서 가장 깔끔하게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은 GAPM-7200(이하 7200) 을 초기화 한 후에 기가허브 위치에 놓고 (LG U+ 인터넷 임대기기들은 어뎁터 관리의 편의성 및 재고관리를 위해 일괄적으로 12V 2A - 6543CP1 을 사용합니다.) A2004NS-MU(이하 2004) 를 7200 아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7200 에서 SuperDMZ 를 이용해 2004 에 공인ip 를 할당시키는 방법이 가장 쉽고 깔끔하게 처리됩니다. 그 이후 모든 기기를 2004 에 물리면 해결되죠. (물론 2004에서 iptv 를 위한 igmp 설정은 따로 해 주셔야 합니다.)
cmt al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