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xmox 서버 구축 어떻게 할지.. 구축 운영 질문입니다.
이번에 안쓰는 오래된 노트북으로 proxmox 를 올려서 써보고 있습니다.
리눅스는 처음 만져보는거고, 어떤걸 할 수 있는지 몰라서 홈랩 pc 사기 전에..
써보니 주로 이런것들을 쓸 것 같습니다.
1. 블로그 : 접속자 수 거의 없을 용도 (일기, 여행기 등..)
2. 위키 : 온라인 사진 앨범 용도
3. 헤놀로지 : 홈미디어 서버, DLNA, WEBDAV, 토렌트
4. PLEX (가장중요) : 가족들 집에서 영상 재생 (최대 동시재생 4대, 4K HEVC 가능..?)
지금은 헤놀로지 네이티브로 서버 하나 돌고있고 (타오나스)
나머지는 전부 PROXMOX 에 컨테이너로 돌고있습니다만..
proxmox 백업 서버 돌리는건 VM만 된다는걸 어제 알았네요;;
그래서.. 이런 저런 생각하다가..
그냥 헤놀도 proxmox에 VM으로 돌리면 어떨까.. 싶기도 하고..
하필 알리에서 AMD 5600도 싸게 팔고.. 그래서 서론이 길었는데 질문이 좀 있습니다 ㅎㅎ;;
1. 지금 헤놀 네이티브에 있는 HDD는.. PROXMOX에 그대로 연결해서 쓸 수 있나요?
PROXMOX에 VM 생성하고 헤놀 올린다음에, 기존 HDD를 패스쓰루 해주면..?
- 이미 2 TB정도 올려버려서.. 백업할 하드가 없습니다 ㅠ
- 스토리지 : 헤놀 (8TB, 1TB, 500GB), PROXMOX (250GB SSD)
- NVME는 헤놀은 못쓴다고 해서 생각 안하고 있습니다;; (보드에는 슬롯 있음..)
2. 지금 컨테이너로 돌아가는 것들은..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백업 관점에서.. VM하나 통합으로 만들어서 거기에 컨테이너로 돌려야 할까요?
- 실행중인 것들 : NPM, 블로그, 위키, plex
3. 2.5Gbps 수준의 PCI 카드를 추가해서 집 메인 공유기로 쓸 수도 있을까요?
스위치허브는 있는데, IPTV도 보고있어서.. IGMP 도 지원되어야 할텐데..
- 지금은 아수스 티모바일 AC1900 쓰는데 기기가 많아질수록 발열이..ㅠ
질문이 너무 약간 광범위해서 답변 받기 어려울 것 같긴 한데
Proxmox 운영하시는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ㅎㅎ
1. 이미 사용 중인 하드는 패스스루 해주시면 그대로 사용 가능하고, NVMe 슬롯에도 안에 zfs 풀 만들어서 가상 하드디스크로 잡으시면 사용 가능합니다.
대신 별도로 PCI 사타 확장카드 같은 걸 달아서 PCI 패스스루를 하는 게 아닌 이상 SMART는 사용 못 합니다. 모든 정보가 QEMU HARDDISK로 바뀌어서 보이거든요.
2. 도커는 컨테이너 백업하셔서 LXC에 올리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게 VM으로 만드는 것보다 자원도 덜 쓰고 좋습니다.
3. 네트워크 쪽은 제 분야가 아니라.. 다른 용자분의 답변을 들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제가 처음 구축해봐서.. 죄송해요 ㅎㅎ;;
그리고 블로그, npm 등등 전부 각각의 LXC로 올려놨습니다 ㅎㅎ;; 이거 근데 이렇게 쓰는게 좋나요, 아니면 도커 LXC 하나 만들어서 그 위에 다 돌리는게 좋나요?;;

LXC 분리는 본인 취향의 영역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WireGuard 전용으로 하나, 도커 호스트용으로 하나, 디스코드 봇 돌리는 용으로 하나 사용하고 있습니다.

LXC는 하나 하나 만들때마다 너무 어려워서;;; 이걸 혹시라도 리눅스나 기타 등등 업데이트로 다시 셋팅해야 한다면 잊어먹을것 같아서 정기 백업 시켜놓고 싶어서... 정기 백업은 VM만 된다고 하는거 같아서요 ㅎㅎ;; 근데 또 막 그렇게 용량이나 리소스를 많이 먹는게 아니라서 굳이 그래야 하나.. 아니면 셋팅 완료 할때마다 LXC 백업을 그냥 그때 그때 하나씩 해두면 되나 싶기도 하고 그러네요 ㅎㅎ;;

다만,, 관리부분에서 LXC는 호스트영향을 많이받아서 아예 VM으로 구축하는게 마음편하긴하더라구요..


공유기로 사용하시려면 몇 가지 조건들이 있는데 가장 기본적인 조건인 NAT 기능이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구축하신다 하더라도 사설 IP <---> 공인 IP간 통신을 관리할 수 없어 사용이 어렵습니다.
혹시라도 구축 하신다 하더라도 NAT 처리를 하드웨어로 처리할 수 없기 떄문에 트레픽 양이 많을 경우 CPU에 부하가 많이 걸려 구축한다 하더라도 큰 의미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IGMP의 경우 Proxy 및 Snooping 기능을 지원해야 원활한 IPTV 시청이 가능한데, Proxy는 Daemon으로 동작하는 기능이라 igmpproxy 등 프로그램을 구동하면 가능할 수(?) 있으나, Snooping 기능은 Kernel에서 지원해야 하는 기능이라 사실상 일반 CPU로는 구현이 어렵다고 보셔야 할 것 같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2. 서비스 운영은 용도와 목적이 달라서...이건 잘 모르겠네요.
3. 가능해요 proxmox에 opnsense나 pfsense, openwrt, untangle
같은거 올리면 공유기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cmt al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