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질문

Proxmox를 이용해 4~5개의 VM을 만들어 다음 용도로 사용할 서버를 배우면서? 만들려고 합니다.

유니파트 481

0

3

 

VM 1 : Windows 10 이용한 Gaming PC * RTX 4090 + GPU Pass-through

 


VM 2 : Windows 10 이용한 Chrome 웹서핑 + 문서 작성(=한글) PC

 


VM 3 : Xpenology 24시간 365일 내/외부 데이터 공유 전용 (UPS 보유)

 


VM 4 : 방문객을 위한 Guest PC (OS=Windows 10)

 


VM 5 : Xpenology Surveillance <- 다수의 CCTV 감당이 어려워 예정만;;;

 


CPU는 내장 그래픽을 가지고 있는 AMD, Intel의 CPU 중 하나를 선택하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AMD를 선택하려 했습니다만, 인터넷 검색 중 reddit에서 필자가 자꾸 생각만 하게 되는 글을 보았습니다.

 

 

캡처.PNG.jpg

 

 

I’ve found pice pass-through to work better with intel. But is shouldn’t really matter. Just research your chip before buying.

 

 

[번역] 인텔과 더 잘 작동하는 pice pass-through를 찾았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구매하기 전에 칩을 조사하십시오.

 

 

Q1. 검색으로 보게된 글 때문에 AMD냐? Intel이냐? 고민하며, 금전적으로 여유 아니 풍요로우면 AMD(=Ryzen 9 7950X3D 또는 Ryzen 9 7900)와 Intel(=i9-14900K) 모두 해보겠지만 최소한의 비용(=기획예산처 장관에게 걸리면;;;)으로 서버에서 사용될 모든 부품을 구매해야 하는 상황이라 AMD와 Intel 중 어디로 가는 것이 좋을까요?

 

 

Q2. RTX 4090의 연산 능력은 FP32를 기준으로 했을 때 82.6FLOPS(=82,600TB)로 알고 있는데, 이렇게 많이 계산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2.5Gb 유선 네트워크를 가진 PC)에서 받아 게임을 원활? 약간의 옵션 타입을 하더라도 진행될 수 있게 하려면 내부 네트워크를 . . .

 


1안 : 2.5Gb 스위칭 허브 구매 및 연결 <- 유력

 


2안 : 10Gb 스위칭 허브 구매 및 연결

 


3안 : 서버 + 클라이언트에 10Gb NIC 추가 및 10Gb 스위칭 허브 구매 및 연결

 


4안 : 서버에 10Gb 4 Port NIC 구매 후 클라이언트와 다이렉트 연결 <- 네트워크 바보 아니 약골이라 어려워서;;;

 

 

5안 :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10Gb NIC 설치 후 10Gb 스위칭 허브 구매 및 연결 <- 비용문제로 생각만;;;

 


Q3. 위 4안처럼 연결한다면 서버에 VM을 올려 스위칭 허브 OS?를 개발? 또는 설치해야 사용할 수 있는지 아니면, 케이블 연결 후 IP만 잡아주면 사용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Q4. 가성비는 위 1안인데, 클라이언트에서 문제없이 게임이 가능할까요? 클라이언트에서 하게 될 게임은 옵션을 최하로 낮추어도 CPU 내장 그래픽으로 플레이할 수 없는 게임으로 생각해주세요.

 

 

신고공유스크랩
3
profile image 1등
너굴맨봇 2024.02.28. 23:19
안녕하세요, 유니파트님.😊
 

좋은답변을 받기위해서는 좋은 질문이 필요합니다.

유의할점⚠️

  • 예의를 지켜주세요. 답변자는 답변을 할 의무는 없습니다.
  • 질문에 대한 대부분의 답은 검색으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답변자가 답변을 하면서 대개 많은 경우는 다시 질문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질문의 대한 정보가 부족합니다. ~일 경우 결과물이 어떻게 됩니까? 등등)

질문방법🙏

자신의 상황을 최대한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상황이 정확하고 많을 수록 답변의 정확도가 올라갑니다. 

ex) ex) 헤놀로지라면 메인보드 모델 칩셋정보, CPU, 사용한 DSM 버전, 모델, 부수적인 추가 컨트롤러 나 랜카드 등과 어떠한 로더의 이미지를 사용했는지.(arpl-i18n, mshell), 어떤 버전을 사용했는지, 문제가있다면 어떠한것인지 스크린샷을 동반하고 에러의 경우 에러로그를 출력해서 주시면 좋습니다.

*가능하면 최신버전 OS/SW를 이용해주세요

 

답변에대한 피드백을 주세요.

정보가 질문에 모두 담겨있지않다면 대부분의 답변이 다른정보를 요구합니다.

이러한 답변에 대해 명확한 피드백을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profile image 2등
유로아빠 2024.02.28. 23:32
proxmox 네트워크 구성을 어떻게 할지 고민해보셔야 겠습니다.
proxmox 8.1 이후 버전은 sdn 구성하기 쉽게 되어있어서 유연하고 자유롭게 원하는 토폴로지로 vm을 배치할 수 있습니다.
sdn 자체 dhcp도 가능하지만 opnsense/pfsense, untangle 같은 방화벽라우터 vm이 sdn 엣지에 위치하도록 해서 나머지 vm을 그 아래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 image 3등
akrsoTale 2024.02.28. 23:40
1. 가상화에 E코어는 쥐약입니다. P코어만 쓰실게 아니시라면 AMD추천드려요!

2. 패스스루던 뭐던, 직접 연산하여 화면에 보여지는 부분을 연산하는건 4090이 해주고, 그 부분은 네트워크 대역폭은 크게 신경쓰실 필요가 없습니다. 화면을 따로 Parsec 같은걸로 보실텐데 딱히 네트워크 대역폭을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어차피 비디오 인코딩을 통한 랜더링 된 화면을 원격으로 보실거니까요. 연산 대역폭과 네트워크 대역폭을 같게 보시면 안됩니다. 둘이 엄연히 다르며, 연산 자체를 LAN을 통해 오가는 프로토콜은 현재 없습니다.

3. 사용하실 환경에 맞춰서 DHCP가 필요한지, 스스로 네트워크 라우팅을 해도 될 수준인지 맞추시는게 가장 좋아 보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래도 스위칭 허브 하나 있는게 어떨까 하네요

4. 마찬가지로 원격할 수준이면 됩니다. Parsec같은 원격 프로그램 한 번 알아보세용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cmt alert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쓰기
태그 : xpe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