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이번글은 Proxmox VE 가상화 환경에서 가상머신에 디스크를 패스스루하는 방법입니다.
패스스루란 간단히 말해서 가상화 공간에서 데이터를 쪼개서 할당하는게 아닌 디스크 자체를 VM에 마운트 시키는것을 의미합니다.
일반 PC의 HDD 처럼요.
이 글을 보실정도라면 대부분 잘 아실거라고 생각하니... 바로 진행해보겠습니다.
테스트 환경
Proxmox VE 7.1-7
Disk 8TB - OS
Disk 1TB - Passthrought 용
디스크 정보 확인하기
proxmox에서 디스크를 제대로 할당하기 위해서는 디스크의 정보를 제대로 알고있어야합니다. 여기서는 lsblk를 사용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쉘로 진입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주세요.
lsblk |awk 'NR==1{print $0" DEVICE-ID(S)"}NR>1{dev=$1;printf $0" ";system("find /dev/disk/by-id -lname \"*"dev"\" -printf \" %p\"");print "";}'|grep -v -E 'part|lvm'
여기서 Hitachi HDD를 쓰겠습니다.
맨뒤의 정보만 적어주세요.

/dev/disk/by-id/wwn-0x5000cca375f088b6
여기서 알아낸 정보를 미리 저장해두고 VM을 체크해보겠습니다.

VM의 번호는 100번이고 disk는 기존에 sata0번을 쓰고있네요.
VM에 Disk Passthrought 하기
이제 위에서 얻어낸 정보를 토대로 vm을 업데이트해보겠습니다.
qm set [VM번호] -[연결장치번호] [디스크 정보]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처럼 바로 마운트 되는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LI에서 확인해야한다면 VM 설정으로가서 확인하면됩니다.
/etc/pve/qemu-server/[VM정보].conf | grep [디스크정보]

이제 머신을 시작해보겠습니다.
잘 연결됐습니다~

다만 디스크 인포에는 QEMU HDD로 나오는군요 ㅎㅎ

아무튼 이번편도 잘 되서 다행입니다~
ESXi RDM 같은건가요? SMART가 원래디스크로 안나오는건 좀 아쉽네요.. (이건 ESXi도 마찬가지지만)
RDM과 동일합니다 ㅎㅎ 사타확장카드를 패스스루하지않는한.. 원래디스크로 안나올것같긴합니다.
다만 Proxmox 자체에서 디스크 헬스체크를 SMART로 지속적으로하기때문에 굳이(?) 헤놀로지안의 SMART에 집착할 필요는 없을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달소님 글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는게 기존 xpenology 네이티브 디스크를 proxmox로 이관하게 되면 이 방식으로 인식이 가능한가요?
네 아마 가능할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