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오나스 B형(DS918) 과 i5-2500 3.3Ghz (DS923) 의 파일 복사 속도가 이렇게 다르네요??
타오나스 B형 (DS918+) RAM 4G 내장랜 1 , USB 랜 1 연결 되어 있습니다. (하드 총 3개 SHR 로 레이드 묶었습니다.)
i5-2500 3.3Ghz (DS923+) RAM 4G 내장랜 2 연결 되어 있습니다. ( 하드 2개 단일 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DS923 은 오전까지 DS3622xs+ 였으나 업데이트 하다가 무한 복원이 되서 여러번의 시도 끝에 DS923으로
올렸습니다. 이렇게 올리니 잘 작동 하네요. ( 갓정큐삼님의 TCRP + Mshell 를 이용한 Native 헤놀로지 ) 이걸로만 했습니다. 다른 여러가지 방법도 있는것 같던데 그냥 저 로더로만 여러번 해 봤네요...
두개의 나스에서 파일 복사 속도를 체크해 봤는데 음 두개가 너무 차이가 많이 나네요...
먼저, 타오나스 DS918+ 정보 입니다.
아래그림처럼 랜 2개 잘 잡혀 있습니다.
하드 3개 SHR 로 레이드 묶여 있구요..
3.3G 용량의 단일 파일 입니다.
i5-2500 3.3Ghz (DS923+) 의 정보입니다. 정보에는 AMD Ryzen R1600 으로 나오네요. (요건 DS923+ 라서 그런것 같아요) AMD 용 이라고 봤던 기억이..
랜 2개 잘 잡혀 있습니다.
하드는 단일로 2개~~~
3.3G 용량의 단일 파일 입니다. 동일한 파일 입니다.
원래는 200MB/S 이 넘을때도 있는데 테스트시에 저정도 나왔네요.
두 제품 다 SMB 설정 되어 있는 상태이구요...
하나의 스위칭 허브에 모두 같이 2개씩 물려 있습니다.
저 속도가 차이 나는게 제품의 하드웨어 의 차이 보다는 SHR (Synology Hybrid Raid) 의 문제일까요?
백업용으로 다시 만들어서 사용 예정이라 저정도 속도는 별 상관 없는데 차이가 너무 커서 주절주절 해보네요..
혹시 타오나스 랑 다른 나스 가지고 계신분들 이정도 차이가 나시나요???
PS : 로더 만들어 주시는 분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



1.번의 멀티채널 활성 셋팅값도 좀 다른데요. 이 방법은 어떻게 동작되는지 집에가서 해봐야 겠습니다.
시놀로지(Synology) NAS에서 SMB 멀티채널(multi-channel) 속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SSH를 통해 NAS에 로그인합니다.
1.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현재 시스템에서 SMB 멀티채널을 활성화합니다.
echo "1" > /proc/fs/cifs/multiuser
2.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테스트할 공유 폴더의 마운트 지점을 만듭니다.
mkdir /mnt/test_share
mount -t cifs -o username=<사용자이름>,password=<패스워드> //<NAS주소>/<공유폴더이름> /mnt/test_share
3.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테스트할 파일을 생성합니다.
dd if=/dev/zero of=/mnt/test_share/testfile bs=1M count=1000
이 명령어는 크기가 1GB인 테스트 파일을 생성합니다.
4.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SMB 멀티채널 속도를 테스트합니다.
iozone -i 0 -i 1 -t 8 -s 1G -r 128k -+u -f /mnt/test_share/testfile
이 명령어는 8개의 쓰레드를 사용하여 1GB 파일을 128KB 블록으로 쓰고 읽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때, -t 옵션은 사용할 쓰레드 수를 지정합니다.
5.테스트가 완료되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마운트 지점을 언마운트합니다.
umount /mnt/test_share
참고: 이 명령어는 시놀로지 DSM 7.0에서 테스트되었습니다. DSM 6.2에서는 다소 다른 명령어를 사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cat /etc/samba/smb.conf | grep -e multi -e aio
server multi channel support=yes
aio read size=1
aio write size=1

vi 에디터로 열어서 붙이기 귀찮으시면 이 스크립트 사용해 보십시요. ^^
sudo -i
[ $(cat /etc/samba/smb.conf | grep "server multi channel support=yes" | wc -l) -eq 0 ] && echo "server multi channel support=yes" >> /etc/samba/smb.conf
[ $(cat /etc/samba/smb.conf | grep "aio read size=1" | wc -l) -eq 0 ] && echo "aio read size=1" >> /etc/samba/smb.conf
[ $(cat /etc/samba/smb.conf | grep "aio write size=1" | wc -l) -eq 0 ] && echo "aio write size=1" >> /etc/samba/smb.conf
최종 확인은
cat /etc/samba/smb.conf | grep -e multi -e aio
이렇게 세팅 잘 되어 있네요... 음.. 조만간 로더 새로 만들어 주신걸로 세팅 예정이라 그때 다시 한번 해봐야 겠습니다.

모델을 계속 바꿔가며 마이그레이션을 해서 빠져 버렸나 보네요.
이것도 다들 쓰시는 기능이라 TCRP addon 으로 넣어드려야 하는지 고민해 보겠습니다.
7.2 부터는 SMB3 다중채널활성화라는 메뉴가 아예 따로 있어서 이런과정이 이제 필요 없어지는것 같습니다.

TCRP 로더 빌드시 이 셋팅은 자동으로 들어갑니다.
제어판에서 SMB 2 이상 ~ SMB 3 로 올리는 설정은 직접 해주셔야 합니다.
아래처럼 실행하시면 위에 공유한 스크립트가 똑같이 실행되는 결과가 나옵니다.
sudo -i
bash -c "$(cur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PeterSuh-Q3/tcrp-addons/master/smb3-multi/src/smb3-multi.sh")"
오 그 설정후에 속도 테스트 해봤는데 올랐습니다.
50Mb/s ~60Mb/s 였었는데.... 원래 설정이 되어 있었던게 이상했었나 봅니다.
cmt al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