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벌써 3월의 마지막날인 31일입니다 ㅎㅎ
요즘 헤놀을 성공하시는분들께서 후기글도 많이올려주셔서 뿌듯한 하루를 시작하고있습니다.
저는 플랫폼만 가이드만 제공해드리고있는데 다른 능력자분들께서 많이 도와주시고 좋은 정보글을 작성해주신 덕분이지요 하하..
뭐 아무튼 헤놀로지를 구축하신다음에 기본 셋팅이나 활용방법에 대해 궁금하신분들이 많으신듯해서 기본셋팅 가이드를 따로 정리해보려고합니다.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모릅니다. 주인장이 게임에 미쳐가지고요...)
소나무 님 말씀대로 헤놀로지 설치후 헤놀멍을 때리는분들이 계시는거 같아서..
능력자 분들께서 저처럼 초심자가 시작했을때 설정할 것들을 적어주시면 좋을것같습니다~
초심자 분들이시라면 궁금하신 내용을 댓글로달아주세요!!
기존에 가이드라고 적어놓은게 너무 없어보여서..개편을..
아래는 예시이자.. 앞으로 정리할 방향(?)입니다.
디스크 셋팅관련
SATA Controller 와 Sataportmap 설정에 관하여
Muxed 포트 및 시놀로지 하드웨어에 대하여

패치
현재 사용하고있는 CPU정보로 변경하기.
Video Station에 최신 ffmpeg 설치 및 EAC3, TrueHD, DTS 디코딩하기
https://svrforum.com/194113
정품 시리얼 얻는방법
https://svrforum.com/nas/363421
트랜스코딩 활성화하는방법
얼굴인식 활성화
https://svrforum.com/109833
NVMe Disk 인식
단 아래글은 , /etc.defaults/extensionPorts 이 파일이 이미 존재하고 있다는 가정하에만 사용가능합니다.(Feat. 화정큐삼님)
https://svrforum.com/179424
https://svrforum.com/nas/215254
헤놀로지 설치된 상태에서 mac/SN 등 user_config.json 수정하기.
https://svrforum.com/nas/314619
기본셋팅
배경화면 바꾸기
https://svrforum.com/nas/239990
고정IP할당
https://svrforum.com/nas/240020
DDNS설정하기.
디스크상태확인하기
메일알람받기
WOL
https://svrforum.com/nas/209599
동영상 재생
비디오스테이션
plex
jellyfin
파일공유
내부망 파일공유를 위한 SMB
파일스테이션
드라이브사용법
???
보안
방화벽사용법
OTP설정방법
로그보는법?
????
도커
헤놀로지에서 도커란?
기타 도커이미지 주렁주렁
패스워드 관리를 위한 Vaultwarden(구. Bitwarden)
토렌트 다운로드를 위한 qbittorrent
기타등등
패키지추천
가상머신 사용을 위한 VMM
장비(물리,VM) 백업을 위한 Active Backup for Business
헤놀로지 장비백업
나스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고 하지만, 그래도 대중적인 분야는 아니라서 초보자인 저 같은 사람들은 머리 수백번은 쥐어 뜯으면 책상 해머링 해야 한계단씩 올라갑니다.
서버포럼은 진짜 이쪽 분야 커뮤니티 중 사막에 오아시스입니다.
부탁드리고 싶은거는 회원님들이 세팅하면서 얻은 정보들을 거침없이 공유 해주셧으면 좋겠습니다.
초보자인 저도 올립니다. 물론 틀린 정보일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배우는 입장에서 내 지식을 공유해야 틀렸다는 것도 알게 되고 틀린지식이면 바로 수정하고 받아드리면서 지식이 더 풍부 해지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배움에 있어서 부끄럼움은 없다라는 말이 있듯이요.
기초적인 것이라도 이미 알고 있는 사람들이 볼 때, 자신이 놓쳤던 더 좋은 방법이 공유가 될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글 공유 전 포럼 내 검색해서 중복되지 않는지 여부만 확인하시고
서슴없이 공유해주시면 더욱 풍족한 자료의 창고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참 같은 내용이더라도 방식이 다르거나 또 다른 내용이 첨부된다면 보강 자료로 더 큰 도움이 되는 글이 될 것 같구요.
그리고 올린 자료를 더 많이 알고 계시는 고수님들이 확인도 해주시고 틀린 정보가 있다면 괜히 딴지거는게 아닐까 걱정 말고 지적해주세요. 그게 더 큰 도움이 되는 거니까요. 배우는 입장에서 그것만큼 고마운 것이 어디 있을까요?
많은 분들의 지식 정보로 풍성해 지는 서버포럼이 되길 바랍니다.
좋은 글 + 좋은 정보는 언제나 환영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하신것도 댓글로남겨주세요!!
어제 하드가 61도가 넘어가서 종료되는 이슈가 있었습니다. 물론 낮은 온도로 관리하는게 제일 좋지만
임시 방편으로 하드온도 61도 리밋을 조금 더 올리는 것도 가이드에 추가되면 좋을것 같습니다 ^^
http://niceky68530.synology.me/html/xe/index.php?mid=board2&document_srl=423
감사합니다.
네 이전에 화정큐삼님께서 댓글로달아주신내용이 있어서 정리해서 올려봐야겠습니다 ㅎㅎ
참고로 할 지침서 작성 중이시네요. 화이팅입니다~
좋은 정보 모음 입니다. 감사드려요~
조금씩 능력되는데까지 해 보겠습니다. 아주 좋은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