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인증

헤놀로지 메인보드 교체 후기

백복 398

2

8

안녕하세요. 

 한달여에 걸친 헤놀로지 설치 삽질 후기를 남겨보겠습니다. 

 

  1. 계기

대용량 파일을 내부망으로 쓰던 도중 1기가 속도를 자각하게 되었습니다.

2.5기가를 호시탐탐 노리다 중고 허브를 싸게 구매했습니다.

2.5기가 usb랜을 추가해서 랜 2개로 사용했는데

각종 알수없는 이유로 외부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잦아졌습니다.

 

      2. 과정

원래쓰던 cpu는 g5600인가 그렇습니다. 느리다는 느낌을 전혀 받지 못했습니다.

우선 2.5기가 메인보드로 옮겨야겠다 싶어 트랜스코딩이 된다는 10세대 i3로 중고 구매했습니다.

검색해보니 그냥 옮겨끼면 된다고 해서 그리했습니다. 

 

 

20240422_225641.heic_compressed.JPEG

 

       3. 문제의 시작

포토 웹에서 사진 삭제가 안되었습니다. 

원하는 사진만 삭제하고 싶었기 때문에 수용이 불가했습니다..

재설치 했습니다. 

재설치 해도 똑같았습니다.

자료 백업해놓고 포멧으로 완전히 밀고나서 재설치 했습니다. 

 

      4. 문제2

그랬더니 삭제는 되는데 AME 어쩌구 해서 포토웹에서 heic을 볼 수가 없습니다.

코덱 팩에 무슨 래퍼에 여러가지를 부단히도 설치하고 해결해보려 노력하여

AME에 HECV초록불이 들어왔지만 heic는 볼수가없었습니다. 

 

로더를 mshell, i18n, arc 전부 다 돌아가면서 포멧 후 설치해봤습니다. 

SA6400으로도 설치해보고 DS920+으로도 설치해보고 DS918+으로도 설치해보았습니다. 

윈도우를 설치하고 vmware를 통해 설치 해봤습니다. 

전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았습니다. 매일매일 2~3시에 잠들고 너무 힘들었습니다.

매일 밤마다 뭐하냐고 눈치도 그렇고 누가와서 해줬으면 싶었습니다.

 

DS918+ 의 DSM 7.1 에서 AME 패치를 했을 때 heic 파일과 hecv 코덱이 잘 되는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nvme ssd 장치가 볼륨으로 인식되지 않았습니다. 각종 패치 해봤지만 소용없었습니다. 

7.2에서는 아주 잘되었습니다. 

7.2에서는 heic를 못보고 7.1에서는 nvme볼륨이 안되었습니다. 

 

방법을 찾다 정품 시리얼을 타오바오에서 구했습니다. 저는 11000원주고 DS920+의 전백 버전을 샀습니다. 

이미 2주이상 진행하여 지쳐있어서 가장 비싸보이는것을 골랐습니다. 

다시 포멧하고 시리얼을 한땀한땀 정성스럽게 입력하여 920+ 7.2를 설치했습니다. 

그동안의 수고가 헛된듯이 모든것이 한방에 해결되었습니다. 

 

   5. 무엇이 해결되었나

가. AME 라이센스가져오기 버튼 한방으로 heic 등 모든 파일을 잘 볼 수 있습니다.

나. nvme 볼륨이 아주 쉽게 몇줄의 CLI로  한방에 되었습니다.  

다. 사진 링크공유시 네트워크 주소가 안붙는것이 해결되었습니다. 

라. 포토 웹에서 사진 삭제가 가능해졌습니다. 

마. https 프로토콜에서 동영상 재생이 안되던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느낀점

정품을 구매하고 싶어졌습니다. 

신고공유스크랩
8
profile image 3등
화정큐삼 2024.05.21. 14:53

서론 / 본론 / 결론에 느낀점까지... 논문이나 메뉴얼 잘 쓰시는분일것 같네요.^^

 

사실 AME 의 라이센스 제한이 없다는것 때문에 7.1을 유지하시는분이 많으신데요.

7.1에서 NVMe 볼륨화가 잘 안된다는것을 몰랐습니다.

(mshell 의 nvmevolume이 제가 만든 오리지널 입니다.^^)

 

제가 mshell 테스트를 안해봤는데, rr 이나 arc (rr에 잘못된것 까지 복사해가는...ㅎㅎ) 도 테스트를 안했다는거네요.

전백코드 없이 7.1 유지하고 싶으신 분들 위해 7.1 Addon 들 전반적인 테스트를 한번 해봐야 겠습니다.

테스트 해서 잘되면 rr 에도 전파하겠습니다.

profile image
화정큐삼 2024.05.22. 00:29
화정큐삼

딱히 테스트가 필요 없을거 같습니다.

7.1이 호환가능한 모델은 따로 있습니다.

 

이 호환표에 보시면 7.1 에서 NVMe 볼륨화가 즉시 가능한 모델리스트들이 나와 있습니다.
https://github.com/PeterSuh-Q3/tcrp-addons/blob/main/nvmevolume-onthefly/README.md

 

AME 와 트랜스코딩 때문에 선택하실 수 있는 모델은 아래 3개 뿐인데,
하필 시도하신 SA6400 / DS920+ / DS918+ 3개 모델 모두 7.1 에서 즉시 볼륨화가 지원되지 않는 모델들입니다.

SA6400 의 7.1 버전은 제가 한번더 시험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007revad님의 M.2 볼륨생성 스크립트를 받아서 쓰셨을것 같은데요.
볼륨이 즉시 생성되지 않는 비호환 모델들에는 이 스크립트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7.1 에서도 가능하셨을겁니다.

profile image
달소 2024.05.21. 22:43
돌고돌아 정품이기는 하죠 ㅎㅎ
글을 참 잘쓰셔서 재밌게읽었습니다!
profile image
하늘위의하늘 2024.05.22. 00:12
저도 헤놀 2개 정도 세팅 해두었지만 메인(1차) + 서브 (2차)
결국 백업으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ㅎㅎ 그외 서비스는 형상관리 정도 백업정도 합니다. (가끔)
맥북 백업은 맥북 보안을 풀어야해서 외장 하드에만 백업 하고 있습니다. ㅎㅎ;
결국 저는 정품이 아니고 나스가 필요가 없습니다. ㅎㅎ;
profile image
화정큐삼 2024.05.22. 16:08
어제 SA6400 7.1.1 을 테스트해봤는데,
중요한 패치가 아예누락되어 있어서 디스크도 못찾고 네트워크도 못찾는 상태였네요.
이 패치는 커널5용으로 다시 잘 넣어서 돌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DSM 설치까지는 잘 되는것 확인했습니다.
퇴근해서 NVMe 까지 잘 되는지 다시 확인해 보겠습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cmt alert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태그 : SATA